지도교수 : 장 훈 Jang, Hoon
연구 및 실험실 소개
- 환경오염 및 화학물질등의 노출에 의한 다양한 질병 중 생식세포의 비정상적 사멸로 인한 생식 능력의 저하는 향후 인류의 영속을 위협하는 몹시 큰 문제
- 생식능력의 보호에 관한 연구는 몹시 미비한 상황으로, 이는 인류 뿐만 아닌 모든 생명체의 멸종과 깊은 관련이 있음
- 본 연구실은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난소 내 미성숙 난자의 보호 및 활성화 기능을 연구함으로써 여러 화학물질들에 의한 난자의 비정상성을 억제하는 연구를 진행 중
- 또한, 정자의 활성화를 향상시켜 수정능력을 확보strong>하고, 수정란의 자궁으로의 성공적인 착상 능력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연구함으로써 난임 및 불임의 극복을 목표로 분자생물학적 기전 연구를 목표로 함.
- 나아가 빛을 이용한 단백질 활성화 조절 시스템 (광 유전학)을 생식세포 및 생식기관에 적용하고자 하는 연구를 수행 중
- 광 유전학 기술은 여러 부작용을 유발하는 약물 투여가 아닌 특정 빛을 쪼임으로써 질병을 치료하는 기술로 현재까지는 신경 조직에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으며 생식기관에서 적용 시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난임 및 불임의 극복을 유도할 수 있음
- 광 유도 연계 기술로 탄소 양자점 (Carbon Quantum Dot)을 이용한 새로운 개념의 생식능력 활성화 시스템을 구축
연구 과제
-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수신진연구자 지원사업 (연구재단; 2021.03~2026.02)
- 과학기술정보통신부 G-LAMP 사업 (연구재단, 2024.09~2029.08)
최근 발표 연구
- 폐경기 골다공증 치료를 위한 골대사질환 기전 연구
- 여성 생식능력 활성화를 위한 난자 및 자궁내막의 생화학적 기전 연구
- 양자점을 이용한 정자 운동능력 활성화 기전 연구
그림 1 생쥐 동물모델을 이용한 시험관 수정, 난자 활성화, 자궁 활성화 연구
그림 2 양자점을 이용한 바이오 메디컬 적용 연구
구성원
- 정 재완 (LAMP Post Doc) : G-LAMP 사업단 세부과제 총괄
- 송 현희 (석•박사 과정): 생식 능력 활성화 기전 연구
- 정 명욱 (석사 과정): 골다공증 극복 기전 연구
- 민 서영 (석사 과정, 파트타임, 국립축산과학원 동물바이오공학과): 이종간 장기이식 연구